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란?
CDP는 2000년 영국에서 시작된 비영리 기구이자 전 세계 약 91개국에서 수행하고 있는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입니다. 23년 기준 전세계 23,000개 이상, 국내의
경우 875개의 기업들이 CDP를 통해 탄소 배출량,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와 기회, 기후변화 대응 목표와 전략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Climate Change), 수자원(Water Security), 산림자원(Forests)의 3대 영역에 대한 내용을 평가하고 있으며, CDP 평가결과는 전 세계 금융기관의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나 기업가치 평가 자료로써, 공신력 있는 ESG 평가요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CDP와 ESG공시제도 연계성
24년도부터 CDP 문항과 IFRS S2 기후관련 공시 기준을 일치화하였으며, EU의 ESRS 및 미국 SEC 기후공시지침, TNFD(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등의 보고기준과도 일치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SBTi, RE100, NZAM 등 기후관련 이니셔티브와의 통합성을 고려함으로써 다양한 ESG공시 제도와의
연계성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 1. IFRS S2 기후 관련 공시 기준
-
- 2024 CDP 기후변화 질의서 : IFRS S2 기후관련 공시 기준과 일치
-
IFRS S2 기후 관련 공시 기준 주요 내용 :
- 1) 거버넌스, 전략, 위험 및 기회 관리를 포함한 기업의 보고 의무 명시
- 2) Scope 1, 2, 및 3 배출량을 포함한 위험 및 기회, 지표 및 목표의 식별, 평가,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사용되는 프로세스 보고
CDP 질의서 = TCFD권고안 = IFRS S2 기후 공시 기준
- 2. IFRS S2 기후 관련 공시 기준
-
- EU지속가능성보고기준(ESRS)과의 연계 방안 검토
- 기존 CDP 질의서와 ESRS 항목 일부 일치
-
EU지속가능성보고기준(ESRS) 주요 내용:
EU 기업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에 따라 2024년 1월부터 대기업
및 일부 예외를 제외한 상장기업은 ESRS 적용하여 ESG 정보 공개
- 3. 자연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NFD)
-
- 자연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NFD) 프레임워크와의 연계 예정
- 기존 CDP 질의서와 TNFD 프레임워크 항목 일부 일치
-
TNFD 프레임워크 주요 내용:
- 1) 자연 관련 위험/기회, 자연/생물다양성에 대한 기업의 의존도 및 영향
- 2) 거버넌스, 전략, 위험 및 영향관리, 지표 및 목표
- 3) 의사결정 시, LEAP(Locate, Evaluate, Assess, Prepare)접근법
- TCFD권고안
(기반)

- TNFD 프레임워크

- CDP 질의서
(부분 일치)
- 4. 미국 SEC의 기후 공시 지침(안)
-
- 미국 SEC의 기후공시지침(안)과의 일치여부 검토
- 미국 SEC, 기후공시지침 2024년 3월 최종 통과
-
기후공시지침(안) 주요 내용 :
- 1) 기후 리스크 관리를 이사회 및 경영진의 중요 책임으로 규정
- 2) 가치사슬 내 협력업체까지 포함하여 위험 식별하고, 사업전략 및 재무계획에 반영 요구
- 3) 연결 종속회사까지 Scope 1, 2 배출량 공시·검증 및 제한적으로 Scope 3 배출량 공시 요구(Scope 3 배출량 공시는 최종 기후공시 지침에서 제외됨)
출처 : 2023 CDP한국보고서,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CDP 기업보고서 검증
국내에서는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이 CDP 한국 파트너사(CDP한국위원회)로써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CDP 내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해 2017년부터
독립된 제 3자 기관의 CDP 기업보고서 검증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한국품질재단은 CDP한국위원회로부터 지정된 검증기관으로서 기업이 작성한 CDP 응답보고서(CDP Response)가 작성가이드라인에 따라 적절하게 작성되었는지,
그리고 보고서에 포함된 정성·정량 데이터가 합리적이고 적절한지를 근거를 통해 확인하고 있습니다.
문서검토
· 응답서(초안) 검토 단계로 응답 기관의 기후변화 관련 활동 및 성과 검토
- - (비재무 정보) 작성된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고객사 제공 데이터와 미디어리서치 교차 분석
- - (재무 정보) 보고서에 기재된 재무 정보가 당해연도 사업보고서, 지속가능경영/ESG 보고서, 내부 문서, 국가 전자공시시스템 등에서 적절히 추출되었는지 검토
현장 검증
· 보고서에 대한 기술내용 및 관련 근거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 및 보고서 작성 프로세스 유효성 평가
- - 조직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및 전략, 관리시스템 운영 및 활동 데이터
- - 보고서 내 기후변화 관련 데이터 분석 결과 및 서술 내용, 당해연도 성과 평가
- - 보고서 자료 제공 책임이 있는 주요 담당자와의 인터뷰
확인심사
· 문서 검토 및 현장 심사에서 발견된 오류, 부적합한 정보, 보고서 전체 맥락 상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시정조치 확인
· 최종보고서 반영 여부 검토
내부심의
· 확인 심사 후, 검증의견서 발행 전 검증계획, 최종보고서와 검증의견서의 적절성 결정을 위한 내부심의 진행
검증의견서 발행
· 검증 결론 도출 방법
- 1) 보고서가 CDP 작성 안내서 및 평가 방법론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최종 판단
- 2) 검증의견서 작성 및 발행
검증 관련 문의사항
기업보고서 검증에 대한 기타 자세한 사항은 검증운영팀 CDP 담당자 ghg_vt@kfq.or.kr(02-6277-9436)에게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