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인증제도란?
ISO 22000은 농장에서 식탁까지 식품의 모든 취급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 요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ISO/TC 34 / WG 8 (식품안전경영시스템 표준 위원회) 주도로
ISO 회원국 및 CODEX (국제식품표준위원회), GFSI (국제식품안전협회), BRC (영국소매협회) 등 식품전문기관이 공동으로 개발한 식품안전경영시스템(FSMS: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규격입니다.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의 원칙을 포함하면서도, ISO 경영시스템 구조(High-Level Structure)를 따라 조직의 식품안전 리스크를 예방적으로 관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식품공급망 전반(농축산물 생산, 가공, 운송, 보관, 유통, 급식 등)에 걸쳐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를 요구합니다.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필요성
-
●
국내외 식품기업과의 거래 시 식품안전 인증을 요구받고 있다면
-
●
HACCP 이상의 국제적 인증을 통해 수출 및 글로벌 마켓 진입을 원한다면
-
●
식품사고 예방 및 법적 규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
●
고객사(대형마트, 외식체인, 글로벌 브랜드)로부터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면
-
→ ISO 22000 도입이 꼭 필요합니다.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인증 효과
-
●
식품안전 리스크 예방관리 체계 확립
-
●
공급망 내 고객사와의 신뢰도 향상 및 납품 조건 충족
-
●
식품사고(이물혼입, 미생물 오염, 알레르겐 누락 등) 예방
-
●
HACCP보다 확대된 범위의 식품안전 통합관리 실현
-
●
수출 기업의 경우 GFSI 등 글로벌 인증과의 호환성 강화
-
●
소비자 보호와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향상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주요 요구사항
-
●
식품안전 방침 및 목표 설정과 경영자의 책임 강화
-
●
위험성 평가를 통한 예방적 관리(Hazard Analysis)
-
●
운영 전제조건 프로그램(PRP) 수립(예: 위생, 청결, 보관조건 등)
-
●
CCP(중요관리점) 및 OPRP(운영상 관리절차) 설정 및 관리
-
●
효과적인 추적성 확보 및 회수 절차 수립
-
●
내부 커뮤니케이션 및 공급업체 관리 체계 구축
-
●
정기적 내부심사 및 경영검토로 시스템 지속적 개선
식품안전경영시스템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