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37001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
ISO 37001(부패방지 경영시스템) 인증제도란?
ISO 37001은 조직이 뇌물 수수 및 부패 행위를 사전에 방지하고 윤리적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구축하는 국제 표준 부패방지경영시스템(ABMS: Anti-Bribery Management System)입니다.
국제표준화기구(ISO)가 2016년에 제정한 이 규격은 국내·외 반부패 법령과 글로벌 윤리 기준에 기반하여, 조직의 부패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예방·관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공공기관, 공기업, 다국적기업, 협력사 등 다양한 조직에서 청렴성과 투명경영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활동은 미국의 FCPA(1977)을 시작으로
OEDC 뇌물방지 협약, UN 반부패 협약, 영국의 Bribery Act 등 전 세계적으로 일어났으며,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노력으로 그 결정체인 국제표준 ISO 37001이 2016년 10월 15일에 제정되었습니다.
ISO 37001은 전세계 37개국이 참여하고 매년 국가별 부패관련지수를 발표하는 국제투명성기구와 OECD가 함께 참여하여 제정된 컴플라이언스 분야 최초 인증 가능 국제 표준입니다.
■
ISO 37001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의 필요성
-
●
공공기관, 지방자체단체, 공기업의 청렴도 향상이 필요하면
-
●
대기업 및 협력사가 ESG, 윤리경영, 반부패 정책을 강화하고자 한다면
-
●
해외 거래 시 부패 방지 관련 법률 (예: FCPA, UKBA) 준수가 요구된다면
-
●
뇌물 수수 등 부패사건 발생 시 조직의 법적·사회적 리스크를 줄이고자 한다면
-
●
내부 신고, 이해상충, 대금 지급 등 고위험 거래 관리를 체계화하고자 한다면
-
→ ISO 37001 도입이 꼭 필요합니다.
■
ISO 37001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의 인증 효과
-
●
뇌물 및 부패행위에 대한 예방적 통제 체계 수립
-
●
윤리경영 및 사회적 책임(ESG) 실현
-
●
임직원, 협력사 대항 청렴의식 제고
-
●
부패 관련 법령 위반 리스크 감소
-
●
해외 진출 시 글로벌 기업과의 공정거래 기반 확보
-
●
국민권익위원회 청렴도 평가 및 ESG 평가 지표 개선
-
●
공공 입찰, 해외 투자기관 대응력 강화
■
ISO 37001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의 주요 요구사항
-
●
부패방지 방침 수립 및 경영진의 의지 표명
-
●
부패 리스크 평가 및 통제계획 수립
-
●
이해상충 관리 및 투명한 거래 수행 절차 마련
-
●
고위험 거래(예: 대금지급, 기부, 채용 등)에 대한 사전 심사
-
●
부패방지 책임자(Compliance Officer) 지정
-
●
내부/외부 신고채널 구축 및 익명성 보장
-
●
교육훈련, 내부심사, 경영검토를 통한 시스템 유지·개선
■
ISO 37001(부패방지 경영시스템) 모델
■
참고사이트
■
브로슈어
ISO 37001 브로슈어